언론이 정신질환 관련 보도를 할 때 부정적인 단어들을 연결하는 경우가 많아 낙인효과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근호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사업과장은 국가인권위원회 주최로 5일 오후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정신장애인 인권 증진을 위한 연속정책간담회’에 앞서 낸 발제 자료를 통해 “대중매체가 정신질환과 폭력 간의 연관성을 전달해 대중의 공포심을 극대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예컨대 정신질환을 ‘시한폭탄’으로 은유하거나 ‘우울증 환자는 정상적인 직장생활이 어려워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고 단정 지어 버리는 식이다.
조 과장은 “정신질환과 공포, 불안, 혐오와 같은 부정적인 단어를 함께 쓰거나 지나치게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해 오해가 생기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보도할 때 ‘경찰, 인질범 정신질환 추정’처럼 범죄와 정신질환의 연관성 여부를 추정 상태로 보도하거나 정신질환이 확인되더라도 해당 범죄의 유일한 원인이 정신질환인 것처럼 보도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조 과장은 “정신질환도 예방이나 치료, 회복이 가능한 질환임을 이해하고 보도해야 한다”며 “전문가에게 조언을 받아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신질환자도 누군가의 소중한 가족임을 이해하고 보도해야 한다” 며 “정신질환자의 인권 문제에 대한 감수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권위는 오는 12일과 19일, 26일에는 각각 ▲ 정신병원 장기입원의 진단과 대안 ▲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치료·거주·복지 환경 진단과 대안 ▲ 의료인과 소비자 관계에 대한 진단과 대안을 주제로 정책 간담회를 할 계획이다.
최죽희 기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