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외국인 검진 확대 …결핵환자 맞춤형 지원
◇ 자료사진
보건당국이 2022년까지 결핵발생률을 인구 10만명당 77명에서 40명으로 줄이기 위해 결핵을 앓는 65세 이상 노인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결핵검진을 진행한다. 또 결핵 표준 치료기간인 6개월 동안 꾸준한 치료가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 위험요인을 평가해 환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결핵 없는 사회, 건강한 국가’를 비전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할 이 같은 내용의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1일 밝혔다. 2기 종합계획은 결핵발생률을 2016년 인구 10만명당 77명에서 2022년 40명으로, 결핵환자 수는 3만6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나아가 2035년에는 결핵발생률을 인구 10만명당 10명 이하인 결핵퇴치 수준까지 감소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3년 정부는 2020년까지 결핵발생률을 인구 10만명당 50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제1기 결핵관리종합계획(2013-2017)’을 마련했다. 그 덕에 2011년 이후 새로운 결핵환자는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5.8% 줄었다. 하지만 2016년 기준 우리나라 결핵발생률은 77.0명으로 여전히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2위인 라트비아 37.0명보다 두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인구 10만명당 5.2명으로 1위다.
◇ 결핵환자 ‘조기 발견’에 집중
보건당국은 노인, 외국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등의 결핵검진을 확대해 결핵 조기 발견에 힘쓸 계획이다. 우선 노인 결핵 환자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노인 결핵검진을 하고, 노인 의료급여수급권자가 결핵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논의할 계획이다.
또 외국인 결핵환자 유입에 대비해 국내 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을 대상으로 결핵과 잠복결핵감염 검진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결핵에 취약한 영유아, 청소년, 노인과 접촉이 많지만 결핵 검진 사각지대였던 방과 후 교사, 간병인 등의 관리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노숙인, 쪽방거주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이동결핵검진도 진행한다. 몸 안에 결핵균이 존재하지만 활동을 하지 않아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잠복결핵감염 관리를 내실화한다.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을 370개소에서 460개소로 늘리고, 부작용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역학조사를 강화해 잠복결핵감염 치료 기반을 만든다.
◇ 집단시설 비전염성 결핵 발생 때도 역학조사
민간의료기관과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권역별 민간·공공협의회’에 환자사례 관리팀을 구성한다. 환자사례 관리팀은 결핵환자에 대한 개별 위험요인을 평가해 환자 맞춤형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결핵환자 가족에 대한 결핵검진을 강화한다.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실시 기준도 현행 전염성 결핵에서 비전염성 결핵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2020년까지 결핵예방백신(BCG)이 국내에서 개발·허가될 수 있도록 추진 중인 사업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결핵은 결핵 환자로부터 나오는 미세한 침방울이 다른 사람 호흡기로 전해져 전파되는 병이다. 결핵의 주요 증상은 기침, 객담·혈담, 객혈, 체중 감소, 식욕 부진, 폐 손상 등이 있다.
전염성 결핵환자와의 밀접접촉자 중 약 30%가 감염되고, 이중 약 10%가 발병한다. 증상이 나타난 환자의 절반은 감염 2년 이내에, 나머지는 평생에 걸쳐 발병한다.
이인동 기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