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단전·단수 등 빅데이터 분석 해 복지 사각지대 좁혔다

복지 취약 계층 선제적으로 발굴…지자체 통보, 필요한 서비스 제공
작년 지원대상 1만1000여명 늘려

보건복지부가 단전 단수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지 혜택 사각 지대를 좁혀나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지난해 복지 서비스 지원 대상자를 전년보다 1만1000여명 확대했다고 밝혔다. 빅데이터로 예상한 대상자중 실제 서비스를 지원받은 비율도 25.6%로 5.5%포인트 개선됐다.
복지부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은 단전, 단수, 기초수급 탈락·중지, 의료비 과다 지출 등의 정보를 분석해 복지 사각지대 취약 계층을 선제적으로 찾아내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복지 취약계층으로 예측된 대상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되며,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통해 가구마다 확인한 뒤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지난해 복지부가 지원한 취약계층 공공복지 서비스는 총 7만7000명으로 차상위 지원 8천537명, 기초생활보장급여 지원이 6천712명, 긴급복지 지원 1천109명, 기타 공공 복지서비스 3만1천412명 등 모두 4만7천770명이 혜택을 받았다. 공공 복지서비스 자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2만8천868명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푸드뱅크, 대한적십자사 희망풍차 등 민간기관이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를 연계, 지원했다.
복지부는 “지난해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중심의 지역밀착형 서비스 제공과 연계 정보의 확대 및 예측 빅데이터 모형의 개선으로 지원 대상자 수와 지원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발굴관리시스템을 통해 2개월 간격으로 총 6차례, 약 35만 명 이상의 복지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를 찾고 읍면동 통합 사례관리 상담·조사를 통해 공공·민간 제반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청년실업,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로 발생하는 위기·취약 가구를 빠르게 찾아내 복지, 건강관리, 고용 등 서비스를 연계·지원하는 것이 핵심” 이라며 “빅데이터 예측 모형을 계속 정교화해 현장 복지업무 담당자 업무를 지원하고, 읍면동 주민센터, 고용복지+센터, 사회복지관 등 민간 복지기관과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죽희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