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이야기] 첫 이슬이 내린다는 ‘백로’(白露)

백로(白露)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사이에 있는 절기로 양력으로는 9월 7일이나 9월 8일에 백로일이 들어서게 됩니다. 보통 입추를 가을의 초입이라고 한다면 보다 본격적으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가 바로 백로입니다. 이때부터는 이제 반팔로 된 옷을 입을 수가 없을 정도로 서늘함을 느끼게 되지요.
백로는 흰 백(白)자에 이슬 로(露)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니까 흰 이슬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이슬을 아름답게 표현한 말이기도 합니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되니 들녘의 농작물들에 이슬이 맺힐 정도로 날이 차가와진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겠지요. 그러니까 백로가 되면 날씨가 갑자기 서늘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낮 동안에는 아직 여름의 기색이 남아 있지만 말이지요.
그리고 이렇게 낮 동안에는 햇빛이 그 남은 힘을 뿜어내야 오곡이 잘 여물고 여러 과일에는 단물이 들어차게 되지요. 그래서 백로를 전후한 시기에는 맑은 날이 이어지면서 기온도 적당해야 좋습니다. ‘백로에 비가 오면 오곡이 겉여물고 백과에 단물이 빠진다’는 말은 그래서 나온 것이지요. 이 시기에 너무 이른 추위가 찾아오는 것은 조냉(早冷) 현상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조냉 현상이 나타나면 농작물의 생장이나 결실을 방해하게 되어, 수확의 감소로 이어지게 될 수 있습니다.
백로일에는 벌초를 하거나 백로보기를 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백로보기는 백로일에 부는 바람을 통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습을 의미하는데,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벼농사가 잘 안 되는 것으로 보았지요. 하지만 백로일에 비가 오게 되면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늘인다‘고 하여 대풍이 들 것으로 보았고요. 이와 함께 음력 7월에 백로일이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참외나 오이 농사가 잘 된다고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백로가 되면 이제 여름은 그야말로 꼬리를 내리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름의 더위를 생각하면 지긋지긋 하지만 농사일을 생각하면 오히려 그 여름이 마지막 힘을 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되기도 합니다. 자식과도 같은 곡식에 가득 힘을 실어줄 한낮의 땡볕을 기대하는 농군들의 마음에 허탈감 생기지 않도록 더 이상의 태풍 소식이 없기를 바라는 이 도시인의 마음을 하늘이 알아주면 좋기도 하겠고요.

<자료: 산수도인>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