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대회가 전 국민이 참여하는 사회 통합적 올림픽으로 치러진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2일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농림축산식품부, 강원도,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및동계패럴림픽대회조직위원회와 함께 ‘사회 통합적 평창올림픽 유산 창출 방안’을 밝혔다.
사회적 소외계층과 지역주민 등 전 국민이 참여하는 평창 올림픽 개최를 통해 ‘사회 통합’이라는 올림픽 유산을 창출하자는 뜻이다. 문체부 등 관계 기관 특별전담팀(TF)을 구성해 ‘공감과 치유’, ‘상생과 협력’, ‘지역 혁신’, ‘평화와 화합’ 등 4개 핵심 추진 전략과 21개 세부 과제를 도출했다고 전했다. 장애인, 저소득층 등 사회적 소외계층과 지역 주민이 함께하는 올림픽을 추진한다.
자원봉사자와 성화 봉송 주자에 사회적 소외계층을 참여시키고, 공공기관·기업의 사회 공헌 사업과 지자체 예산을 활용해 다양한 경기 관람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평창 올림픽을 국민들의 사회 통합 인식을 높이는 기회로 활용한다.
패럴림픽을 계기로 대회 개최도시(강릉·평창·정선)의 숙식업소와 공중화장실의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하고, 패럴림픽 개최 전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8~2022)을 발표해 사회 통합을 향한 정부 의지를 표명한다. 법정 의무교육인 장애 인식 개선 교육에 패럴림픽 관련내용을 포함해 장애인식 개선과 대회 홍보 기회로 활용한다. 평창올림픽과 사회적 경제 및 지역 경제 간의 연계를 적극 추진한다.
대회 기간 중 팔도장터명품관을 운영해 중소기업, 전통시장 등의 우수제품을 판매·홍보하고, 사회적경제상품관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제품 판매와 사후 판로 개척을 지원한다. ‘시도의 날’ 행사를 개최해 지역별 홍보관 운영, 대회 집중 관람 진행 등을 통해 개최 지역 외의 16개 시도가 함께하는 장을 마련한다.
또한 대회 준비와 운영 과정에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과 지역음식(로컬푸드)을 활용하고, 사회적경제기업이 대회 라이선싱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후원(스폰서) 기업과 협조해 사회적 경제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정부는 올림픽을 계기로 지역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문체부, 강원도 등 관계 기관 특별전담팀(TF)을 통해 대회시설 사후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고용부의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사업을 통해 대회시설 사후 활용 일자리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조직위는 대회 후원사 중 사회공헌사업을 실시한 기업에 대해 ‘지속가능파트너’로 선정해 지속적인 사회 공헌을 유도한다.
올림픽을 통한 지역관광을 활성화해 지속 가능한 관광유산도 창출한다. 개최 지역의 교통기반시설과 숙식업소 등을 정비하고, 사회적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공정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올림픽 개최 지역과 연계한 농촌여행상품을 운영하고 농어촌민박을 개선하는 등 농촌관광도 활성화한다.
정부는 평화와 화합이라는 올림픽 정신을 구현한다. 대회 출전국 선수단과 지자체 결연을 통해 경기응원 등 응원단(서포터스) 활동을 추진하고, 북한이 참가하는 평화올림픽 개최를 위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 국제기구와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에 마련된 세부 정책과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널리 알려 나눔과 배려의 문화를 확산하고, 평창 올림픽이 모든 국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함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