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와 함께 치매 노인이 급속히 증가, 사회문제로 떠올랐지만, 이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은 여전히 미흡하다.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치매 노인 실종 건수도 급속한 증가 추세다. 지난 5년간 무려 30%가량 늘었다.
그러나 실종을 막을 수 있는 배회감지기 보급률이 고작 3%에 그칠 만큼 치매 노인을 위한 사회안전망은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치매는 기억력, 언어 능력 등 인지 기능이 떨어져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경찰 관계자는 “치매 진단을 받지 않았더라도 고령의 노인들 중에는 순간적으로 치매 증세를 보여 집을 나가는 경우가 많다” 면서 “이동 경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발견되는 일도 많다”고 설명했다.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치매 질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노인 실종 신고 건수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경찰청에 따르면 치매 노인 실종 신고 건수는 2012년 7천650건에서 2013년 7천983건, 2014년 8천207건, 2015년 9천46건으로 늘더니, 지난해에는 9천869건에 달했다. 5년 동안 무려 30% 가까이 증가했고, 1년 새 9%가 늘어난 것이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노인 실종 건수가 급속히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하루 평균 27명이 치매 노인이 집을 나갔다가 길을 잃어 경찰에 도움을 청하는 셈이다.
정부는 실종 치매 노인 문제 해결책으로 배회감지기·인식표 보급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치매 노인의 실종을 예방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치매 노인이 배회감지기를 휴대하면 보호자는 휴대전화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구역을 벗어나면 알림 문자를 보호자에게 발송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배회감지기 사용 인원은 2013년 380명에서 지난해 3천734명으로 10배 가까이 늘었지만, 보급률은 여전히 미미하다.
올해 전국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는 72만5천명으로 추산된다. 시도별로 차이가 있지만,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1∼3%에 불과하다. 모든 치매 노인이 배회감지기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실종 치매 노인이 갈수록 급속히 늘어나는 것을 고려할 때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중앙치매센터 관계자는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노인 실종 사고를 100% 예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면서 “치매 노인 문제는 누구나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가족만의 일이 아니라 지역사회 공동체가 함께 나서야 할 사안이라는 인식이 필요하고, 사회 안전망도 시급하게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치매노인 실종신고 5년간 30% 증가
실종 방지 ‘배회 감지기’ 보급률 고작 3%
“치매 가족 아닌 공동체 문제…사회안전망 구축 시급”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