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수요가 가장 크게 늘어날 사회서비스는 ‘주거’와 ‘성인돌봄’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30일 발표한 ‘2015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 두 분야를 2∼3년 이내에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현재 이용률 대비 각각 12배, 8.5배에 달했다.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사회서비스로는 미혼·성인자녀 동거가구가 ‘고용’을 꼽았고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가구는 ‘아동돌봄’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노인가구는 ‘성인돌봄’과 ‘보건의료’ 이용의향 비율이 높았다.
민간·정부 사회서비스 가운데 가장 많이 이용한 서비스 영역은 ‘문화’(36%) 분야였고 보건의료·건강관리(12.1%)가 그 뒤를 이었다. 아동돌봄(5.8%)과 고용·취업지원(5%) 이용 비율도 높았다. 정부가 지원하는 사회서비스 이용분야 중 이용 경험이 가장 많은 것은 보건의료·건강관리(7.3%)였고, 아동돌봄(4.8%), 문화(4.3%), 고용·취업지원(3.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회서비스 영역별 만족도는 아동돌봄, 성인돌봄 서비스 만족도가 각각 5점 만점에 3.91점, 3.8점으로 높았고 주거, 고용서비스가 3.38점, 3.6점으로 낮았다. 서비스 확충 찬성 정도는 아동돌봄, 성인돌봄, 보건의료서비스가 5점 만점에 모두 4.1점으로 매우 높았고 주거서비스 확충 찬성은 3.7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회서비스 이용료를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담토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4.3%가 대체로, 17.6%가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답했다.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다’는 대답은 17.6%, 1.8%에 불과했다.
현재 운영 중인 사회서비스 제공 사업체는 2010년 이후 창설된 사업체가 44.2%에 달해 신규사업체 비중이 컸다. 운영형태별로는 개인사업체(71.3%)로 가장 많았고 민간단체(13.1%), 사회적 경제조직(10.2%), 사회복지법인·비영리법인 등 회사 이외의 법인(8.9%)이 그 다음이었다. 2014년 회계연도 결산기준으로 사회서비스 사업체의 총수입은 연평균 4억8천830만원이었다. 고용규모는 5명 미만의 소규모업체가 53%였으며 5명 이상 9명 미만 고용업체가 25.8%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실태조사는 2009년부터 2년마다 실시되며, 이번 조사는 전국 4천87가구와 사회서비스 제공업체 4천100곳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로 이뤄졌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해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앞으로 늘어날 사회서비스는 주거·성인돌봄 분야
복지부,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실태조사…주거·고용서비스 만족도 낮아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