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2명 중 1명 가족 외에 경제적 도움 청할 사람 없다”

보건사회연구원 “주택가격·실업·빈곤 위험 불안감 높아”

65세 이상 노인 2명 중 1명은 경제적으로 곤란한 상황에 부닥쳤을 때 가족 외에는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으며 5명 중 1명은 정서적으로 힘들 때 기댈 사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업과 빈곤, 높은 집값에 대한 한국인의 불안감도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 같은 사실은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과제’(김성아·정해식 연구원) 보고서에서 나온 내용이다. 연구팀은 ‘2017년 사회문제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삶의 영역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지지 부재 실태를 조사했다.
행복을 측정하는 지표인 삶의 만족 수준은 주요 선진국의 경우 연령에 따라 40∼50대까지 점차 낮아져 최저점까지 떨어졌다가 60세 이상까지 점차 상승하지만 75세 이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U자형’을 나타낸다. 하지만 한국인의 삶의 만족 수준은 연령 증가에 따라 중장년기에 최저점을 보인 이후에도 상승추세를 나타내지 않고 일관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 부재는 한국인의 삶의 만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적으로 곤란할 때 가족 외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 비율은 청년(19∼34세) 23.6%, 중년(35∼49세) 24.2%, 장년(50∼64세) 30.4%, 노인(65세 이상) 47.1% 등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커졌다.
‘생활이 어려울 때 도움을 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 비율도 청년 12.0%, 중년 15.8%, 장년 17.9%, 노인 24.5% 등으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점차 높아졌다. 특히 ‘정서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기댈 만한 사람이 없다’는 응답 비율은 노인이 20.1%로 장년(9.2%)이나 중년(8.4%)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일자리와 가난, 집값에 대한 불안도 컸다. ‘매우 불안하다’(1점)에서 ‘불안하다’(2점), ‘보통이다’(3점), ‘불안하지 않다’(4점), ‘전혀 불안하지 않다’(5점)까지 5점 척도로 삶의 불안 정도를 살펴본 결과, 실업·빈곤에 대한 불안감은 청년 3.28점, 중년 3.32점, 장년 3.27점, 노인 3.11점 등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택·전셋값에 대한 불안감도 청년 3.12점, 중년 3.19점, 장년 3.02점, 노인 2.88점 등으로 비교적 높았다.

최호철 기자/[email protected]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
강원장애인복지신문 편집국장